본문 바로가기

Opinion/Society

진영논리로 바라본 진중권, <나꼼수>와 진중권의 윈윈

 



안철수, 박원순이라는 이름은 늘 언론에 등장한다. 당연히 유력한 대권주자, 서울시장의 위치에서 등장하지만 강용석 덕분에 네거티브한 뉴스도 심심찮게 나온다. 강용석은 안철수에 대해 "안철수연구소의 주식 거래를 통해 부당한 이득을 취했다."고 주장하며 검찰에 고발했다. 그리고 박원순에 관해서는 "그의 아들이 부정한 방법으로 병역을 면탈했다."며 아들에 대한 재검을 요구하고 있다. 강용석이 홀로 부르짖고 가끔 언론이 다뤄주는 가운데 트위터에서 몇몇 유저가 이에 관해 진중권에게 의견을 묻고 있다. 물론 흔히 말하는 수구 쪽 사람들이다. 진중권이 진영 가리지 않고 총질하는 것을 알기에 진중권의 '비수'를 기대하며 질문을 던지는거다.




많이 알려져 있듯 안철수, 박원순 의혹과 관련한 진중권의 입장은 "문제 없다."는 쪽이다. 무소
속 강용석이 선거를 앞두고 안철수, 박원순이라는 거물을 물어뜯으며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는 게 진중권의 분석이다. 김어준 식 '우리 편' 철학을 가진 입장에서 보면 지금의 진중권은 같은 편이며 적지 않은 힘이 된다. 진중권이라는 이름값이 있기에 수구 쪽 사람들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진중권을 괴롭히는데 이 문제들에 대한 진중권의 입장은 분명하다. 최근 진중권에 대한 비판글들을 썼던 입장에서 이 논란을 보며 묘한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나꼼수>라든지 곽노현, <부러진 화살>에 대한 그의 입장에는 전혀 동의하지 않지만 적어도 이 사회의 다수 수구, 그리고 강용석과 같은 퇴출해야 할 정치인에 대한 문제 의식만큼은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진중권이 약속한 대로 아직까지는 <나꼼수>에 대해서는 어떤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이전처럼 뜨거운 논란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소위 진영 논리에서 민주 개혁 진영의 편에 있는 사람들이 더 이상 진중권의 말에 신경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 진중권은 안철수, 박원순에 대한 수구의 공격을 막아내고 있다. 이전에 진중권이 "수꼴 똥파리들은 꺼져라. 수꼴에 비하면 나꼼팬들은 아인슈타인이다."이라는 표현을 한 적이 있는데 지금 진중권에게 덤비는 이들은 대부분 수꼴 '똥파리'로 보인다. 대표적인 인물이 <끝장토론>에서 정봉주에게 대들었던 꼬꼬마 윤주진이라는 대학원생이다. 86년생이라면 성인이라 할 수 있지만 자신이 아는 한줌의 지식이 마치 대단한 무엇이나 되는 것처럼 의기양양 떠드는 모습이 가소로워 '꼬꼬마'라 칭해본다.(어린 나이에 어떻게 그런 인식과 가치관을 갖게 됐는지 볼 때마다 놀랍다. 장학금 따위의 금전적 이익 때문이 아닌 '신념'으로 추측해본다.) 그리고 간혹 변희재도 진중권을 언급하지만 진중권이 변희재를 철저히 무시, 투명인간 취급을 하고 있기에 둘 사이에 충돌은 없다. 재미있는 건 변희재가 진중권의 "강용석은 정치적으로 끝났다."는 표현을 문제삼아 고발할 의사를 내비친 부분이다. 성사된다면 꽤나 재미난 구경을 할 수 있겠지만 가능성은 희박하다.   




정봉주의 "진중권은 <나꼼수>를 때리면서 <나꼼수>에 묻어가려는 것"이라는 표현이 꽤 파장을 일으켰는데 지금 보니 '어이없게도' 꽤 맞아 떨어지는 부분이 있다. 진중권이 <나꼼수> 때리기를 중단하면서 진중권에 대한 집중도가 확 떨어졌다. 최근 몇 달 동안 진중권이 <나꼼수>와 김어준을 비판하면 <나꼼수> 팬들과 네티즌이 진중권과 설전을 벌이고 이것이 인터넷에서 기사화되고 그러면서 이슈가 확대 재생산되는 모습이 반복되어왔다. 진중권이라는 인물이 욕 먹고 공격받는 것에 익숙하기도 하고 이를 즐기기도 하기에(사실 이 정도 대중적 인지도를 지닌 이라면 대중적 무관심보다는 욕이라도 먹으면서 관심을 끌고 싶어한다. 진중권도 별반 다르지 않다.) 계속 반복된 패턴이었다. 그런데 돌아보면 이건 <나꼼수>로서도 나쁘지 않았던 상황이다. <나꼼수>가 언론에 자주 노출되고 이슈의 중심에 서려면 동력이 필요한데 지금 보면 그 동력을 상당 부분 진중권이 제공했다는 생각이 든다. 진중권이 <나꼼수>를 비판하고 언론은 이를 기사화한다. 트위터에서는 진중권을 공격하고 진중권은 그들과 싸움을 벌인다. 이는 <나꼼수>와 진중권 모두에게 '윈윈'이 되는 구도였던 셈이다.

     
진중권이 <나꼼수>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지금, <나꼼수>에 대한 언론 노출 빈도는 현저하게 떨어졌다. 아무래도 트위터와 온라인에서 보이는 횟수도 줄었다. 어쩌면 이게 진중권의 가장 큰 힘일 수도 있다. 노이즈가 됐건 뭐가 됐건 화제를 만들고 기삿거리를 제공하며 사회를 시끄럽게 만들 수 있는 능력 말이다. 그리고 동시에 진중권 역시 심심하게 됐다. 수꼴 '똥파리'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아인슈타인'들과의 논쟁이 더 이상 없기에 그렇다. 다소 막무가내인 트위터 유저도 있었지만 수준이 되고 상식이 있는 사람들과의 대화로 진중권의 트위터 타임라인이 꽤 볼만 했는데 이제 그런 볼거리는 사라지고 없다. 남은 건 처참한 인식을 자랑하는 수구 전사들, 그리고 자신만만, 자아도취에 빠진 꼬꼬마 윤주진 같은 아이들 뿐이다. 진중권 트위터의 긴장감과 품질이 크게 떨어졌다. 20만이 넘는 팔로워를 '자랑'하는 진중권으로서는 아쉬운 부분, 분발해야 할 부분이다.    




사람 마음이라는 게 묘하다. 진중권이 <나꼼수>에 대해 (김어준의 표현을 빌리면) 씨부리지 않고 잠자코 있으면 좋을 줄 알았는데 그게 꼭 그렇지가 않다. 생각보다 건조하고 심심하다. 그렇다고 이전처럼 '궤변'(진중권의 정신세계에서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비판)으로 <나꼼수>를 물어뜯기를 바라는 건 아니지만 여하튼 그렇다. 진중권의 '침묵'으로 새삼스럽게 <나는 꼼수다>와 진중권이 일정 부분(상당 부분?) 공생관계에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